국립경기장의 기억 vol.14 #ThisisTOKYO

칼럼2022.4.11

국립경기장의 기억 vol.14 #ThisisTOKYO

드디어 4월 29일(금·공휴일), 도쿄가 새 국립경기장에서 첫 J리그 경기를 치른다.

개수 이전의 국립경기장에서는 J리그 가입 첫 해부터 많은 공식 경기를 치러왔다. 기억에 남는 슈퍼 플레이도 있었고, 임팩트 있는 이벤트도 있었다. 간절히 바라던 타이틀 획득 이후, 도쿄가 모든 타이틀을 국립경기장에서 획득한 것은 도쿄와 국립경기장의 깊은 인연을 상징한다.

우리의 국립경기장.

This is TOKYO.

새로운 발걸음을 국립경기장에서 새기기 전에, 지금까지 국립경기장에 남겨온 발자취와 추억을 당시 사진과 함께 되돌아본다.

2013년 꿈이 현실로. 20년 만의 국립경기장

【경기 정보】
2013 J리그 야마자키 나비스코컵/B그룹 제6절
FC 도쿄 2-1 알비렉스 니가타

2013 J리그 디비전1  제23절
FC 도쿄 2-3 사가ン 도스

2013 시즌에는 국립경기장이 특별한 무대가 된 타이밍이 두 번 있었다.

첫 번째는 8월 28일 J1리그 제23절 사가ン 도스전이다. 2020년 올림픽 개최지를 결정하는 9월 7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장소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앞두고, 경기 전 도쿄 올림픽 유치 이벤트를 개최했으며, 도쿄 도롱파가 성화대에 올랐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도 사용된 성화대에서 점화를 도쿄의 마스코트가 맡아 수도의 J클럽으로서 책임을 다한 순간이었다.




또 한 번은 5월 15일의 나비스코컵 그룹 스테이지 제6절 알비렉스 니가타전이었다. 20년 전 같은 5월 15일에 J리그 전체의 오프닝 매치인 베르디 가와사키 대 요코하마 마리노스가 개최된 이 스타디움에서의 공식전이라는 점도 있어, 메모리얼 매치로서 큰 주목을 받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선수들 자신이 사기를 높이고 있었다. 1993년 5월 15일에 스탠드에서 피치를 바라보고 있던 이시카와 나오히로와 이충성이 선발로 출전했다. 그리고 국립경기장에 매우 강하고, J리그에 동경하며 성장한 J리그 세대인 이시카와가 선제골을 넣었다. 1-1로 따라잡힌 후 미타 히로타카의 골로 역전한 경기였기 때문에 이시카와의 골이 결승골은 아니었지만, 그 자리에 있던 모두가 '국립에서 운이 좋은' 이시카와를 축하했다.

“골을 넣었을 때는, 내게 와라, 라는 강한 마음을 품고 있을 때 공이 와서 정말 집중해서 넣을 수 있었습니다. (오늘 골은 특별한가요?) 특별합니다. 다시 한 번 쏘라고 해도 쏠 수 없고, 그 (특별한) 분위기 속에서 할 수도 없습니다. 나에게는 특별한 골이고, 팀에게는 큰 1승이며, J리그에게는 또 하나의 새로운 시작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경기 후, 이시카와는 이렇게 말했다. 20년 전 5월 15일은 꿈이 현실의 목표로 바뀐 날이었다. 그 목표로 삼은 무대에서 J리그가 개막했을 때의 자신의 기억을 되짚으며 경기에 임한 이시카와는, "최고였습니다"라며 감격에 젖은 표정이었다.

글쓴이 고토 마사루(프리랜스 라이터)